2023. 1. 8. 12:26ㆍCS/컴퓨터네트워크
주 교재 : Computer Networking : A Top-Down Approach
10주차 Link layer 01
- Introduction
- Error detection, correction
- multiple access protocol (MAC protocol)
- LANs
1. Introduction
# Link Layer
- 유선
- 무선
- LANs
- frame 단위로 소통
- MAC address는 하드웨어에 기반을 둔 unique한 숫자
- 신뢰성있는 전송을 함 => Error Cheking
# Link Layer 특징
- flow control
- error detection
- error correction
- half-duplex & full-duplex
# Link Layer가 실행 되는 곳
- network interface card (NIC)
2. Error detection, correction
EDC = Error Detection and Corretion bits
=> 3가지 방법이 있음
Error Detection은 100% 신뢰성을 보장하지 않음
# Parity checking
비트의 개수를 계산해서 짝수 또는 홀수로 만들어주는 parity 비트를 써서 에러를 탐지하는 방법
1차원으로 탐지하면 다른 쪽에서 변화시킨 것을 알 수 없기 때문에 2차원을 이용해서 탐지와 수정을 한다.
# Internet Checksum
checksum을 이용해서 에러를 탐지하는 방법
# Cyclic redundancy check (CRC)
D : data bits
G : 나누는 값. 송 수신이 같이 아는 값
R : D mod G.
나누기 연산 시 XOR 연산으로 계산을 이어감.
송신은 D+R 비트를 전송함.
수신은 받은 비트를 똑같은 방식으로 계산해서 R부분이 000이 나오면 정상적으로 수신한 것
3. mutiple access protocols
# Multiple access links, protocols
링크의 두 가지 방법
- Point-to-Point
- broadcast (sharde wire or medium)
- 와이파이
- 옛날 방식 이더넷
- 주변에 소음(noise)가 많으면 내 출력을 높인다.
=> 내 출력이 다른 기기에 소음이 될 수도 있다.
# Mutiple access protocols
노드가 어떻게 채널을 공유할지 결정하는 분배 알고리즘
예를 들면, 언제 노드가 전송할 수 있는지를 결정
- 하나의 공유된 브로드캐스트 채널
- 노드에 의한 두 개 혹은 그 이상의 동시적 전송
- 노드가 두 개 이상의 신호를 동시간에 받으면 충돌이 발생한다.
- 충돌은 유, 무선 둘 다 발생 할 수 있다.
# MAC protocols: taxonomy
- Channel partitioning : 고속도로 차선 생각
-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 - taking turns : 순번 정하기
-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 - random access
- 충돌 발생
# Channel partitioning MAC protocols: FDMA
FDMA :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 Channel partitioning MAC protocols: TDMA
TDMA :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 Taking turns MAC protocols
channel partitioning MAC Protocol
- 전송량이 많을 때 효율적이고 공정함
- 전송량이 적으면 비효율적
random access MAC protocols
- 전송량이 적을 때 효율적
- 전송량이 많으면 충돌 발생
taking turns protocol
polling
- 마스터 노드가 종속된 노드를 초대해서 차례로 전송
- 주의점
- polling overhead
- latency(지연)
- single point of failure
token passing
- 토큰을 순서대로 돌림. => 수건돌리기
- 주의점
- token overhead
- latency(지연)
- single point of failure
# Random access protocols
충돌 탐지와 충돌 이후 어떻게 할 것인지가 중요함
- ALOHA
- slotted ALOHA
- CSMA, CSMA/CD, CSMA/CA
# Pure ALOHA
간단하고, 동기화가 없음
오는대로 전송
# Slotted ALOHA
가정
- 모든 프레임 크기가 같음
- 같은 크기의 슬롯으로 시간을 나눔
- 노드들은 슬롯이 시작될 때 전송을 시작함
- 노드들은 동기화됨
- 2개 이상의 노드가 슬롯에서 전송할 때, 모든 노드는 충돌 탐지
동작
- 충돌이 없으면 노드는 새로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음
- 충돌이 있으면, 노드는 링크가 성공할 때까지 확률 p로 각 후속 슬롯에서 프레임을 재전송
장점
- 단일 활성 노드는 채널의 최대량으로 계속해서 전송할 수 있음
- 매우 분산됨 : 노드의 슬롯만 동기화하면 됨
- 단순함
단점
- 충돌이 있으면 슬롯 낭비
- 유휴 상태인 슬롯
- 노드는 패킷을 전송하는 시간보다 짧은 시간 내에 충돌을 감지할 수 있음
- clock synchronization
# CSM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 전송하기 전에 상태를 본다.
- 채널이 유휴 상태면 전체 프레임을 전송
- 채널이 유휴 상태가 아니면 전송하지 않는다.
- 충돌이 발생할 수 있다.
-> 전파 지연 때문에 두 노드가 서로의 전송을 못 들을 수 있다.
- 충돌이 일어나면, 전채 패킷 전송 시간이 낭비된다.
# CSMA/CD (collision detection)
CSMA/CD는 전송 도중 충돌을 만나면 즉시 전송을 중단함.
전송 중단 이후, NIC는 binary backoff로 진입
4. LANs
# MAC addresses and ARP
MAC(or LAN or physical or Ethernet) address
- 물리적으로 연결된 인터페이스
- 네트워크에서의 IP 주소와 같음
- 48 비트의 주소
- MAC flat address는 portability가 있음.
- IP 계층 주소는 portable 하지 않음
# ARP : address resolution protocol
ARP table
- 어떤 LAN 노드에 IP/MAC 주소를 매핑함
- TTL : 일반적으로 20분 후에 매핑한 정보를 잊음
'CS > 컴퓨터네트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컴퓨터네트워크 12주차 Link Layer 03 (0) | 2023.01.09 |
---|---|
컴퓨터네트워크 11주차 Link Layer 02 (0) | 2023.01.08 |
컴퓨터네트워크 09주차 Network Layer control plane (0) | 2023.01.06 |
컴퓨터네트워크 07주차 Network Layer 02 (0) | 2023.01.04 |
컴퓨터네트워크 06주차 Network Layer 01 (0) | 2022.12.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