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네트워크 11주차 Link Layer 02

2023. 1. 8. 22:01CS/컴퓨터네트워크

주 교재 : Computer Networking : A Top-Down Approach

 

11주차 Link Layer 02

  1. Ethernet
  2. switches
  3. VLANS
  1. Wireless
    -1. Wireless links, characteristics

1. Ethernet

유선 LAN을 지배하는 기술

 

# Ethernet frame structure

preamble : frame의 시작과 끝을 알려주는 비트

  • 7바이트의 10101010 과 1바이트의 10101011로 총 8바이트가 동기화를 위해 사용됨
  • 수신기와 발신기의 clcck rates를 동기화하는데 사용됨

Address : 6바이트의 MAC 주소

type : 상위 계층의 프로토콜을 나타냄

CRC : cyclic redundancy check at receiver

 

# Ethernet physical topology

  • Bus : Fail이 일어나면 같은 버스에 연결된 모든 노드가 작동 불가
  • Star : 각각 분리돼서 이더넷 프로토콜 실행 -> Fail이 일어나도 해당 노드만 작동 불가.


2. Switch : multiple simulataneous transmissions

  • routing 기능은 없는, 2계층의 인터페이스
  • 이더넷 프로토콜은 각각의 incoming link에서 작동하고, 충돌이 일어나지 않음
  • switching : 포워딩 테이블을 통해 충돌 없이 데이터 전송 가능

# self-learning, forwarding

  1. 초기에 포워딩 테이블이 비어있다.
  2. 모든 port에 요청을 다 보낸다.
  3. 응답이 오는 포트에 대해서 포워딩 테이블 업데이트

# Ethernet : unreliable, connectionless

  • connectionless : handshaking이 없다
  • unreliable : NIC는 ack를 보내지 않는다.
    - 누락된 프레임의 데이터는 오직 sender가 높은 계층을 이용할 때만 복구되고, 다른 경우는 데이터를 누락한다.
  • Ethernet's MAC protocol : unslotted CSMA/CD with binary backoff

# Ethernet swicth

  • 링크 레이어 기기 : 활성화된 역할을 가짐
    - 이더넷 프레임을 저장하고, 전송함
    - 들어오는 프레임의 MAC 주소를 검증하고, 프레임이 세그먼트로 전송될 때 선택적으로 프레임을 하나 이상의 나가는 링크로 보내고, 세그먼트에 접근하기 위해 CSMA/CD 방식을 이용한다.
  • transparent
    - 호스트는 스위치를 알지 못한다.
  • plug-and-play, self-learning
    - 스위치를 구성할 필요가 없다.

# Switches vs routers

둘 다 store-and-forward 한다.

  • routers : 네트워크 계층 기기 (네트워크 계층의 헤더를 검증)
  • switches : 링크 계층 기기 (링크 계층의 헤더를 검증)

둘 다 포워딩 테이블을 가지고 있다.

  • routers : 라우팅 알고리즘과 IP주소를 통해 테이블을 계산한다.
  • switches : flooding, learning, MAC 주소를 통해 포워딩 테이블을 학습한다.

스위치는 릴레이로 가야하는 경우와 경로 계산을 할 필요가 없는 경우 이용한다.

-> 경로 계산은 라우터가 해주기 때문.


3. VLANs

이더넷은 실제 물리적으로 포트 연결을 시켜주는 경우가 있어서, 예를 들어 회사에서 부서 이동을 한다면, 포트 구성을 바꿔야하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가변적으로 IP주소와 MAC 주소를 매핑해줄 수 있는 VLAN을 이용한다.

 

VLAN 기능을 지원하는 스위치는 단일 물리적 LAN 인프라에서 여러 가상 LAN을 정의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Port-based VLAN - 가변적

  • traffic isolation : 1-8 포트로 들어오고 나가는 프레임은 오직 1-8 포트에만 접근 가능
  • dynamic membership : 포트는 VLANs 사이에서 동적으로 할당 가능
  • forwarding between VLANS : 라우팅을 통해 완료

1. Wireless

# Wireless and Mobile Networks

  • wireless (무선)
  • mobility (이동성)

# Elements of a wireless network

  • wireless host
    - 노트북, 스마트폰
    - 어플 실행
  • base station
    - 기지국
    - 유선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음
  • wireless link
    - 모바일과 BS를 연결
    - 다양한 데이터 속도, 전송 거리
  • infrastructure mode
    - BS는 모바일을 유선에 연결
    - handoff : 모바일이 기지국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 ad hoc mode
    - BS가 없음
    - 노드는 오직 링크 범위를 통해 다른 노드에게 전송 가능


1-1. Wireless links, characteristics - CDMA

# Wireless Link Characteristics 1

  • 신호 세기가 감소한다. : 거리에 따라 신호 세기가 달라짐
  • 다른 자원으로부터의 간섭이 있다.
  • 전파되는 길이 여러가지

# Wireless Link Characteristics 2

SNR : signal-to-noise ratio

SNR이 클수록 노이즈를 뚫고 나가기 쉽다.

 

SNR vs BER(Bit Error Rate) tradeoff

  • 파워를 올리면, SNR이 증가하고, BER이 내려간다.

# Wireless Link Characteristics 3

  • Hidden terminal problem
    - 장애물이 있으면 통신 불가

  • Signal attenuation
    - 갈수록 신호 세기가 약해지는 문제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encoded signal = (original data) X (chipping sequence)